본문 바로가기

태극권

태극10요

1.허령정경(虛靈頂勁)

머리를 바르게 하고 힘을 넣지 않는다.
힘을 넣으면 목이 굳어지고 기혈이 유통되지 못한다.


2.함흉발배(含胸拔背)

함흉(含胸)은 가슴을 약간 오목하게 하여 氣를 단전에 모은다. 가슴에 힘을 넣어 내밀면
상중 하경(上重下輕)이 되어 발뒷꿈치가 온건하지 못하고 뜨게된다.
발배(拔背)는 氣를 등쪽으로 모으는 것이며 함흉을 하면 자연히 발배가 된다.
발배는 척추에서 힘이 나오게 되므로 천하무적이 된다.


3.송요(松腰)

요(腰)는 신체의 중심이며, 송요가 되면 두발에 힘이 생기고 하반이 견고해진다.
허실의 변화가 허리에서 이루어지므로 힘을 얻으려면 요퇴(腰腿)에서 구해야 한다.


4.분허실(分虛實)

태극 권술에서는 허실이 가장 중요하다.
체중을 오른발에 두었으면 오른다리가 실(實),왼다리가 허(虛)이다.
허실이 분명히 되어야 동작과 방향전환이 가볍고 영활해지며 힘의 낭비가 없다.


5.침견추주(沈肩墜주)

침견(沈肩)은 어깨를 이완시켜서 아래로 내리는 것이다.
어깨가 위로올라가면 氣가 위로 올라가 서 전신의 힘이 사라진다.
추주(墜주)는 팔꿈치를 들면 어깨를 아래로 내릴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경력이 끊어진다.


6.용의불용력(用意不用力)

태극권에서는 의(意)를 사용하고 력(力)을 사용하지 않는다.
몸을 부드럽게 이완시켜 벌리며, 조금의 졸경(拙勁)을 사용해서도 안된다.


7.상하상수(上下上隨)

태극권에서의 뿌리는 각(脚)이며 퇴(腿)로 동작을 시작하고, 허리는 뼈대가 되며,
형체가 손가락이라 했다. 발과 다리, 손이 같이 움직여야 한다는 뜻이다.
손이 움직이면 허리도 움직이고 발도 움직이고 시선과 의식도 움직인다.
상하가 같이 연관되어 산란함이 없는 것을 말한다.


8.내외상합(內外相合)

의식이 주체가 되며 몸이 그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기 때문에 정신이 제기(提起)되어야
행동이 가볍고 영활해진다. 가자(架子)에서 수족이 개(開)이면 심의(心意)도 개(開),
수족이 합(合)이면 심의도 합(合)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내외합일기(內外合一氣)를 이루는 것이다.


9.상련부단(相連不斷)

외가권(外家拳)의 경(勁)은 후천적인 졸경(拙勁)이다. 따라서 멈추기도 하고 계속되기도 한다.
태극권은 시종 끊임이 없이 이어지기 때문에 장강(長江)과 같이 氣의 흐름이 끊이지 않고,
일기가성(一氣呵成)을 이룬다.


10.동중구정(動中求靜)

外家 권술에서는 뛰어오르고 차고 때문에 수련 후에는 숨이 차다. 그러나 태극권은
정(靜)으로 동(動)을 다스리기 때문에 호흡이 깊고 길며, 기침단전(氣沈丹田)을 이룬다.
움직임이 정(靜)과 결합되어 있음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