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극권

태극권 주요전인

▣ 태극권의 주요전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양가태극권 전인
제1대
  양로선(楊露禪; 1799-1872), 명(名); 복괴(福魁). 양로선은 대결에서 한 번도 패한 적이 없어 ‘양무적(楊無敵)’이라 불렸으며 상대방을 다치게도 하지 않아 명성이 더욱 자자했음. 태극권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인물임.
 
제2대
  양반후(楊班候; 1837-1892), 명; 옥(鈺). 양로선의 차남. 사람들이 둘째 선생으로 불렀고, 만근력(萬斤力)이라고도 불렀음. 남과 겨룰 때 손을 쓰면 정을 두지 않아 배우려는 사람이 많지 않았음. 소가(小架)를 위주로 전하였음.
  양건후(楊健候; 1839-1917), 명; 감(鑑), 호; 경호(鏡湖). 양로선의 3남. 사람들이 셋째 선생으로 불렀고, 손바닥을 교묘하게 움직여 제비가 그의 손바닥 위에서 날아가지 못하게 했다는 일화가 있음. 성격이 온화하여 그에게 배우려는 사람들이 많았음. 중가(中架)를 위주로 전하였음.
 
제3대
  양소후(楊少候; 1862-1930), 명; 조웅(兆熊), 양건후의 장남. 성격이 강하여 배우려는 사람이 적었음. 추수 기교에 정통했으며 특히 능공경(凌空勁)에 뛰어났음. 환경을 비관해 남경에서 자진(自盡)함.
  양징보(楊澄甫; 1883-1936), 명; 조청(兆淸). 양건후의 3남. 양로선과 함께 태극권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인물. 양가3대(楊家三代)의 경험을 토대로 제정한 양식대가자(楊式大架子)와 태극권십요(太極拳十要)는 태극권을 배우는 사람이면 누구나 모범을 삼지 않는 사람이 없음. 전인에는 아들 진명, 진기, 진탁, 진국 외에도 수없이 많은데, 동쪽 상해(上海)에서 전수한 진미명과  부종문, 서쪽 서안(西安)에서 전수한 조빈, 남쪽 성도(成都)에서 전수한 이아헌, 북쪽 북경(北京)에서 전수한 최의사(崔毅士), 마카오와 태국 등에서 전수한 동영걸(董英傑), 대만과 미국 등에서 전수한 정만청, 그리고 장흠림(張欽霖), 전조린(田兆麟), 저계정(褚桂亭), 왕욱동(王旭東) 등이 특히 뛰어남. 저서; 태극권체용전서(太極拳體用全書), 태극권사용법(太極拳使用法).

제4대
  양진명(楊振銘; 1910-1985), 자; 수중(守中). 양징보의 장남. 주로 홍콩에서 전수함. 저서; 쌍인도해태극권용법급변화(雙人圖解太極拳用法及變化).
  양진기(楊振基; 1921년생). 양징보의 차남. 천진에서 전수함.
  양진탁(楊振鐸; 1926년생). 양징보의 3남. 저서; 양씨태극권, 검, 도.
  양진국(楊振國; 1928년생). 양징보의 4남. 한단(邯鄲)에서 전수함.
  조빈(趙斌; 1906-1995). 양징보의 외손(外孫). 서안(西安)에서 전수함.
  부종문(傅種文; 1908-1994). 양징보의 생질. 상해(上海)에서 전수함. 저서; 양식태극권, 양식태극도.
  진미명(陳微明; 1881-1958), 명; 신선(愼先). 사람들이 호호선생(好好先生)이라고 칭함. 1925년 상해(上海)에 '치유권사(致柔拳社)'를 세움. 저서; 태극권강의, 태극권답문(太極拳答問), 태극권술·검술.
  이아헌(李雅軒; 1893-1976), 명; 춘년(椿年). 성도(成都)에서 전수함. 태극권리전진(太極拳理傳眞)의 저자 장의경(張義敬)의 스승.
  정만청(鄭曼靑; 1901-1975), 명; 악(岳). 시·서예·그림·의술·권법 등에서 최고 경지를 이루어 사람들로부터 오절노인(五絶老人)이라고 불림. 1938년 호남성 국술관장 재직 시 태극권의 보편적 보급을 위해 120여식의 긴 권가를 37식으로 다시 제정함. 대만과 미국에서 전수함. 전인에는 국홍빈, 서억중, 나방정, 옹자천, 장조평, 황성현, 진지성, 곽금방, 류시형 등이 뛰어남.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5대
  국홍빈(鞠鴻賓; 1917년생), 호; 소태(蘇泰). 중화민국태극권총회 발기인. 그림자처럼 달라붙어 진퇴하므로 사람들로부터 음영노인(陰影老人)으로 불림.
  서억중(徐憶中; 1921년생), 명; 근(瑾), 자; 검웅(劍雄). 중화민국정자태극권 이사장.
  옹자천(翁子川; 1905-1984), 명; 여원(如源). “중국태극권구락부”, “중국태극권학술연구회”의 고문, 감사, 이사 등을 지냄.
  나방정(羅邦楨; 1927년생). 미국 명; Benjamin Pang Jeng Lo. 미국 샌프란시스코 환구(環球)태극권사 사장. 정자 태극권13편 영문본을 냈음.
  진지성(陳至誠). 미국 명; William C. C. Chen. 미국 뉴욕 진지성태극권학원 원장.
  장조평(張肇平; 1922년생), 자; 우광(宇光). 태극권국제연맹총회 주석, 중화민국태극권총회 이사장. 저서; 논태극권(論太極拳), 논태극권속편(論太極拳續篇) 등.
  황성현(黃性賢; 1910-1992). 말레이시아 황씨태극권학회 창립자.
  양도방(楊道芳; 1947년생). 양진탁의 장남.
  부성원(傅聲遠; 1931년생). 부종문의 아들. 오스트레일리아 영년양식태극권사 사장.
  조유빈(趙幼斌; 1950년생). 조빈의 아들. 서안 영년양씨태극권학회 회장.
 
제6대
  시염도(施炎塗; 1932년생), 자; 종성(宗成). 고웅시 태극권협회 부총교련.
  왕금사(王錦士; 1939년생). 고웅시태극권협회 부이사장, 태극권잡지사 사장.
  채백량(蔡柏梁; 1938년생). 성시(省市)급 교련훈련 강사.
  이찬(李燦), 호; 중정(中定). 태극권국제연맹총회 부주석, 대한태극권협회 창립자. 현 명예회장겸 총교련. 이찬태극권도관 총관장. 저서; 태극권강좌. 태극권비결. 태극권경. 역서; 정자태극권.
  양군(楊軍; 1968년생). 양진탁의 장손, 양도방(楊道芳)의 장남. 


⊙ 진가태극권 전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14대
  진장흥(陳長興; 1771-1835), 자; 운정(雲亭), 호; 패위선생(牌位先生). 태극권10대요론, 태극권전투편 등을 지음.
  진유본(陳有本), 자; 도생(道生). 진가태극권 신가(新架)를 제정함.
 
제15대
  진경운(陳耕耘), 자; 하촌(霞村). 호; 패일방(覇一方). 진장흥의 아들.
  진청평(陳淸萍; 1795-1868). 진유본에게 신가를 배우고, 후에 장언(張彦)에게 배워 조보가(趙堡架)라고도 불리우는 소가(小架)를 제정함.
  진중신(陳仲甡;1809-1871), 자; 의호(宜箎), 호; 석청(石廳). 진유항의 아들.
 
제16대
  진연희(陳延熙). 진경운의 아들. 아우 진연년(陳延年)과 함께 태극권에 정통했음.
  진흠(陳鑫; 1849-1929), 자; 품삼(品三). 저서; 진씨태극권도설(陳氏太極拳圖設), 태극권인몽입로(太極拳引蒙入路), 33권보(三三拳譜).
  진복원(陳復元), 자; 욱초(旭初). 진경운의 전인, 후에 진중신에게 신가를 배움.
 
제17대
  진발과(陳發科; 1887-1957), 자; 복생(福生). 진연희의 아들. 근대 진가태극권의 대표적 인물.
  진자명(陳子明). 진복원의 아들, 저서; 진씨세전태극권술(陳氏世傳太極拳術).
  두육택(杜毓澤; 1896년생), 자; 제민(濟民). 진연희에게 배우고, 서기(徐紀)와 양기자(梁紀慈)에게 전했음.
 
제18대
  진조비(陳照丕; 1893-1972), 자; 적보(績甫). 진등과의 아들. 저서; 진씨태극권회종(陳氏太極拳匯宗), 태극권입문, 태극권인몽(太極拳引蒙), 진씨태극권이론13편, 진씨태극권도해.    진조규(陳照奎; 1928-1981). 진발과의 아들.
  풍지강(馮志强; 1928년생). 진발과의 전인, 북경시 무술협회 부주석, 진식태극권 연구회 회장.
  서기(徐紀). 두육택의 전인.

제19대
  진소왕(陳小旺; 1946년생). 진조욱의 아들, 진조비의 전인. 진씨태극권협회 주석. 저서; 진씨태극권 38식.
  진소성(陳小星: 1952년생). 진발과의 손자. 진가구 태극권학교 교장.
  진정뇌(陳正雷; 1950년생). 진조비와 진조규의 전인. 저서; 진씨태극권회종 1, 2, 3부.
  주천재(朱天才). 진조비와 진조규의 전인. 저서; 진가구태극권.
  왕서안(王西安). 진조비와 진조규의 전인.

⊙ 오가태극권 전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1대
  전우(全佑; 1834-1902). 만주족. 능산(凌山), 만춘(萬春)과 함께 왕실의 호위로 있을 때 양로선과 양반후에게 배워 후에 오가태극권의 종사가 됨.
 
제2대
  오감천(吳鑑泉; 1870-1942), 자; 애신(愛紳). 양가태극권 대가와 소가를 수정해 오식태극권을 정형화 함. 사람들이 이 권가를 오식소가(吳式小架)라고 부름. 1935년에 감천태극권사를 세움. 전인에 오공조, 오영화, 마악량, 오도남 등이 있음.
  왕무재(王茂齋; 1862-1940), 자; 유림(有林). 전인에 양우정, 팽인헌(彭仁軒), 조유보(曹幼甫)등이 있음.
 
제3대
  오공의(吳公儀; 1901-1970). 자; 자진(子鎭). 오감천의 장남.
  오공조(吳公藻; 1904-1981). 자; 우정(雨亭). 오감천의 차남. 저서; 태극권강의.
  오영화(吳英華; 1906-1996). 오감천의 장녀. 상해시 국술관 교사와 감천태극권사 사장을 지냄.
  마악량(馬岳樑; 1901-1998). 오감천의 사위. 감천태극권사 부사장. 저서; 오식태극권상해, 오식태극권추수, 오식태극쾌권, 오감천씨적태극권(吳鑑泉氏的太極拳).
  오도남(吳圖南; 1885-1989), 몽고명; 오랍포(烏拉布). 중국의 저명한 고고학가. 저서; 과학화적 국술태극권, 태극검, 내가권태극공현현도(玄玄刀), 국술개론.
  양우정(楊禹廷; 1887-1982), 명; 단람(端霖). 왕무제의 전인. 저서; 태극권동작해설.
 
제4대
  왕휘박(王輝璞; 1912년생). 양우정의 전인, 후에 오영화와 마악량에게 배움. 왕배생과 함께 편저한 오씨간화태극권, 오식태극37식행공도(行功圖)가 있음.
  왕배생(王培生; 1919년생), 본명; 왕력천(王力泉). 양우정의 전인. 북경시 오식태극권연구회 부회장, 군중무술사 사장. 편저; 오식태극권37식, 태극검, 태극권추수정요(太極拳推手精要)등.
  이병자(李秉慈; 1929년생). 양우정의 전인. 중국무협교련위원회 위원, 오씨태극권연구회 명예회장. 양우정이 지은 태극권동작해설을 옹복린(翁福린)과 함께 정리해 양우정 태극권계열 비요집금(秘要集錦)을 냄.
  마유청(馬有淸; 1932년생). 양우정의 전인. 후에 오도남에게 배사함. 저서; 태극권동작해설, 태극권의 연구.
  안자원(顔紫元). 명; 지준(志俊). 마악량, 오영화의 전인. 저서; 태극비보전진(太極秘譜詮眞).

제5대
  전육재(錢育才; 1922년생). 왕배생의 전인. 현재 일본에서 활동 중.


⊙ 무가태극권 전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1대
  무우양(武禹襄; 1812-1880), 명; 하청(河淸). 형 무징청(武澄淸), 동생 무여청(武汝淸)과 함께 양로선에게 배움. 조카 이역여에게 전함. 타수요언(打手要言), 사자밀결(四字密訣)등을 지었음.
 
제2대
  이역여(李亦畬; 1832-1892), 명; 경륜(經綸). 학위진에게 전함. 오자결(五字訣), 살방밀결(撒放密訣), 주가타수행공요언(走架打手行功要言)등을 지음.
 
제3대
  학위진(郝爲眞; 1849-1920), 명; 화(和). 학위진의 아들 학월여 대에 이르러 후세 사람들이 학파 태극권이라고도 부름. 전인에는 네 명의 아들이 있었으나 차남 학월여만이 진전을 이었고 손가태극권의 시조인 손록당이 있음.
  이손지(李遜之: 1882-1944). 이역여의 차남. 이손지가 어렸을 때 부친이 세상을 떠남으로 하여 대부분 그의 사형인 학위진에게 기예를 배움. 저서; 초학태극권련법술요(初學太極拳練法述要). 부주부정천석(不丢不頂淺釋). 수예정언(授藝精言). 

제4대
  학월여(郝月如; 1877-1935), 명; 문계(文桂). 전인에 아들 학소여 및 강소(江蘇)의 장사일(張士一)과 서진(徐震), 섬서(陝西)의 풍탁상(馮卓相)등이 있음. 태극권도해(太極拳圖解)라는 유고(遺稿)를 남겼음.
  요계조(姚繼祖; 1913년생). 영년 무씨태극권연구회 회장.
  한흠현(韓欽賢). 학위진의 전인.
  이금번(李錦藩; 1920-1991). 이손지의 전인.

제5대
  학소여(郝小如; 1908-1988). 상해, 남경 등에서 태극권을 전수함. 전인에 왕모음(王慕吟)이 있음. 저서; 무식태극권(武式太極拳)
  진고안(陳固安). 한흠현의 전인. 저서; 무식태극권신가(武式太極拳新架)
  교송무(喬松茂). 이금번의 전인.

제6대
  송현영(宋顯英). 학소여의 전인.
  고연성(高連成). 진고안의 전인.
  설내인(薛乃印). 교송무의 전인. 저서; 무식태극권정종(武式太極拳正宗). 태극권이론문집(太極拳理論文集).

⊙ 손가태극권 전인
 
제1대
  손록당(孫祿堂; 1860-1932), 명; 복전(福全), 호; 함재(涵齋). 사람들이 활후손록당(活猴孫祿堂)이라고 불렀음. 저서; 태극권학, 형의권학, 팔괘권학, 권의술진(拳意述眞), 팔괘검학 등. 전인에 차남 손존주(孫存周; 1893-1963), 딸 손검운 및 이옥림(李玉琳), 호석포(胡席圃), 왕희규(王喜奎) 등이 있음.
 
제2대
  손검운(孫劍雲; 1914년생), 명; 귀남(貴男). 손식태극권 장문인, 북경시 무술협회 부주석, 손식태극권연구회 회장. 전인에 손경신(孫耕辛; 1929년생. 손식태극권연구회 부회장),    손영전(孫永田; 1948년생) 등이 있음. 저서; 손식태극권·검.